-
[프로그래머스] - [3차] 압축Algorithm/프로그래머스 2022. 7. 19. 20:45
문제
[프로그래머스] - [3차] 압축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이해
더보기문제 설명
압축
신입사원 어피치는 카카오톡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압축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메시지를 압축하더라도 전달되는 정보가 바뀌어서는 안 되므로, 압축 전의 정보를 완벽하게 복원 가능한 무손실 압축 알고리즘을 구현하기로 했다.
어피치는 여러 압축 알고리즘 중에서 성능이 좋고 구현이 간단한 LZW(Lempel–Ziv–Welch) 압축을 구현하기로 했다. LZW 압축은 1983년 발표된 알고리즘으로, 이미지 파일 포맷인 GIF 등 다양한 응용에서 사용되었다.
LZW 압축은 다음 과정을 거친다.
- 길이가 1인 모든 단어를 포함하도록 사전을 초기화한다.
- 사전에서 현재 입력과 일치하는 가장 긴 문자열 w를 찾는다.
- w에 해당하는 사전의 색인 번호를 출력하고, 입력에서 w를 제거한다.
- 입력에서 처리되지 않은 다음 글자가 남아있다면(c), w+c에 해당하는 단어를 사전에 등록한다.
- 단계 2로 돌아간다.
압축 알고리즘이 영문 대문자만 처리한다고 할 때, 사전은 다음과 같이 초기화된다. 사전의 색인 번호는 정수값으로 주어지며, 1부터 시작한다고 하자.
색인 번호123...242526단어 A B C ... X Y Z 예를 들어 입력으로 KAKAO가 들어온다고 하자.
- 현재 사전에는 KAKAO의 첫 글자 K는 등록되어 있으나, 두 번째 글자까지인 KA는 없으므로, 첫 글자 K에 해당하는 색인 번호 11을 출력하고, 다음 글자인 A를 포함한 KA를 사전에 27 번째로 등록한다.
- 두 번째 글자 A는 사전에 있으나, 세 번째 글자까지인 AK는 사전에 없으므로, A의 색인 번호 1을 출력하고, AK를 사전에 28 번째로 등록한다.
- 세 번째 글자에서 시작하는 KA가 사전에 있으므로, KA에 해당하는 색인 번호 27을 출력하고, 다음 글자 O를 포함한 KAO를 29 번째로 등록한다.
- 마지막으로 처리되지 않은 글자 O에 해당하는 색인 번호 15를 출력한다.
K A 11 27: KA A K 1 28: AK KA O 27 29: KAO O 15 즉, 각 단계별로 문자열이 사전에 없을 때 까지 검색 후 문자는 사전에 추가 및 마지막 문자 전까지만 Answer에 추가하면 된다는 간단한 이야기다.
알고리즘
문제의 흐름상 투포인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하면서 갱신 시켜주면 된다고 생각하였다.
1. 현재 시작점부터 탐색된 문자열이 없을 때까지 이동
2. 문자열이 없다면 정답에 이전 Value 추가 및 사전 등록 및 Left 값 변경
3. 문자열 길이 보다 작다면 계속 반복
코드
#프로그래머스 [3차] 압축 def solution(msg): answer = [] index = { chr(e+64) : e for e in range(1,27)} current = 27 temp = 0 left = 0 n = len(msg) while left <= n : check = False for right in range(left+1,n+1): target = msg[left:right] if target in index : check = True temp = index[target] else : check=False answer.append(temp) index[target]=current current+=1 left = right-1 break if check : answer.append(index[msg[left:]]) break return answer msg = "TOBEORNOTTOBEORTOBEORNOT" solution(msg)
코드 리뷰
1. index를 아래와 같이 표현하면 훨씬 더 깔끔하게 표현이 되었을 것이다.
#index = dict() # for i in range(65,65+26) : # index[chr(i)] = i-64 index = { chr(e+64) : e for e in range(1,27)}
2. 알고리즘 자체를 투포인터가 아닌 문자열 처리로 풀었다면, 보았던 부분을 제외시키고 진행시켰다면, 변수가 현저히 적게 들었을 것이다.
Check / temp 변수가 필요 없어진다.
'Algorithm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피보나치 수 (0) 2022.07.19 [프로그래머스] - 줄 서는 방법 (0) 2022.07.19 [프로그래머스] - [3차] 방금그곡 (0) 2022.07.17 [프로그래머스] - [1차] 프렌즈4블록 (0) 2022.07.13 [프로그래머스] - 모음사전 (0) 2022.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