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
[Network] - OSI 7계층CS/면접준비 2022. 9. 30. 20:18
OSI 7계층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알 수 있으며, 이상이 생길 경우 해당 단계만 수정하면 된다. 1. Physical cable, hub .. Data ->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주고 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공간 즉, 데이터 전송하는 역할 2. Data Link Bridge,Switch Physical Layer로 송수신 되는 정보를 관리하여 안전하게 전달 Mac 주소를 통해 통신한다. 전송 단위 : Frame 오류 감지 = 물리전송 매체 특성상 오류,잡음이 랜덤 확률임으로 이를 검출 수정 순서 제어 = Packet과 ACK신호를 잘 못 혼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Sequence Number가 필수적 흐름 제어 =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차를 보상하는데 필수적 3. Network Rout..
-
[컴구] - Parity bit / 해밍코드CS/면접준비 2022. 9. 30. 16:47
Parity bit 정보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기 위한 추가 1bit 전체 bit에서 홀수 혹은 짝수의 갯수에 맞도록 bit 저장 E.g) 짝수 Parity , 1001001 이면 -> parity = 1 -> 1 + 1001001 = 11001001 을 전송 해밍코드 오류만 검출 할 수 있는 Parity bit를 보완->수정까지 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송 시 1bit error를 정정할 수 있는 자기 오류 정정 code 2의 N승 번째 자리인 1,2,4.. 번째 자릿수는 Parity Bit 짝수 패리티의 해밍 코드가 0011011일때 오류가 수정된 코드는? 1. p1 = 1,3,5,7 = 0101 => 0 2. p2 = 2,3,6,7 = 0111 => 1 3. p3 = 4,5,6,7 = 1..
-
[컴구] - CPU 동작 원리CS/면접준비 2022. 9. 30. 16:04
CPU 1. 연산 장치 산술연산과 논리연산 수행 (따라서 산술논리연산장치라고도 불림)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레지스터에서 가져오고, 연산 결과를 다시 레지스터로 보냄 2. 제어 장치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를 꺼내 해독하고, 그 결과에 따라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기억장치, 연산장치, 입출력장치로 보냄 장치가 보낸 신호를 받아, 다음에 수행할 동작을 결정함 3. 레지스터 고속 기억장치임 명령어 주소, 코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연산 결과 등을 임시로 저장 용도에 따라 범용 레지스터와 특수목적 레지스터로 구분됨 범용 레지스터 :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나 연산 결과를 임시로 저장 특수목적 레지스터 : 특별한 용도로 사용하는 레지스터 MAR(..
-
[컴구] - 컴퓨터 기초CS/면접준비 2022. 9. 30. 15:47
HardWare의 기본 구조 Process 처리를 위한 Flow Computer는 Program을 동작시키 위한 Process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Memory를 사용 Memory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Virutal Memory를 사용 MMU를 통해 Virtual Memory -> Physical Memory로 변경 Virtual Memory를 더 빠르게 변경하기 위해 TLB를 구성 CPU와 Main Memory의 속도 차이를 줄여 주기 위해 Cache Memory가 존재
-
[컴구] - 컴퓨터의 구성CS/면접준비 2022. 9. 30. 15:41
컴퓨터 구성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읽고 처리한 뒤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Hardware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적 장치 1. 중앙처리 장치(CPU) Processor라고 불린다.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하고 명령어의 수행 순서를 제어 비교와 연산 산술논리연산장치(ALU)+명령어의 해석과 실행을 담당하는 제어장치+속도가 빠른 데이터 기억장소인 레지스터로 구성 2. 기억 장치 프로그램, 데이터, 연산의 중간 결과를 저장하는 장치 주기억 장치 = Main Memory라고도 불리며 RAM , ROM / Program이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 보조 기억 장치 = Disk라고 불리며 주기억 장치에 비해 속도는 느리지만, 자료 영구 보관 3. System Bus Hardware를 물리적으로 연결하..
-
[OS] - File SystemCS/면접준비 2022. 9. 30. 15:07
File System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유지 및 관리하는 방법이다. 저장매체에는 수많은 파일이 있기 때문에, 이런 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특징 Kernel에서 동작 CRUD 기능을 수행 계층적 Directory 구조 Disk Partition별로 하나씩 둘 수 있다. 역할 File management 보조 저장소 관리 파일 무결성 접근 방법 제공 목적 Disk와 Main memory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함 File 관리 Disk의 효율적인 사용 구조 Metadata+data Metadata = Data 영역에 기록된 File의 Name, location, 크기, Time, 삭제 유무 Data = File Data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들이 보조기억장치에 편..
-
[OS] - MemoryCS/면접준비 2022. 9. 30. 14:26
Memory Main Memory 주 기억장치라고도 불린다. CPU가 직접 Access 가능한 기억장치 Process가 실행되려면, Program이 Memory에 올라와야 한다. Cpu는 Register가 지시하는데로 Memory에 접근하여 수행할 명령어를 가져온다. 명령어 수행 시 Memory에 필요한 Data가 없다면, 데이터를 가져와야 한다. 이 때 도움을 주는 것이 MMU MMU ( Memory management Unit ) Logical Address -> Physical Address로 변경하여 준다. Memory 보호, Cache 관리, Cpu Memory 접근 을 관리하여 준다. Base+Limit을 활용하여 접근가능한 메모리의 영역을 알고 이외의 영역에 접근 시 Trap이 발생 안정성을..